봄싹 커뮤니티 운영자로서 구글을 칭찬하고 싶다. 까는 얘긴하고 싶지 않다. 정말 꾹 참고.. 그 어떤 단체와는 다르게 정말 대조적이게도 내가 원하던 그런 형태로 커뮤니티를 돕고 있다. 구글이 말이다. http://googledevkr.blogspot.com/2012/02/blog-post.html 봄싹을 운영해오면서 가장 힘든 일은 스터디 장소를 구하는 것이었다. 그전까지는 스터디에 참석하는 인원 관리와
봄싹 실시간 피드백 애플리케이션 http://springsprout.org:11000 여기에 접속하시면 써볼 수 있습니다. 지금은 테스트 중이라서 임의로 발표 두 개를 등록해뒀고, 컨퍼런스 하는 날에는 실제 발표 목록을 띄워 둘 예정입니다. 개발은 저랑 윤군이 같이 했고, 봄싹 멤버들이 테스트 할 때 도와줬습니다. “실시간”이라고 한 이유는 해당 발표에 들어가있으면
봄싹 봄싹 스웨거 스터디 개설! 이전에 올렸던 봄싹 기존 스터디의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을 구상해 새로운 스터디를 운영해볼 생각입니다. [봄싹] 기존 스터디의 문제점 이에 대한 해결책과 개략적인 스터디 운영 방법을 스터디 소개에 적어뒀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봄싹 스웨거 httpv://www.youtube.com/watch?v=HDTwQGEeGZc&feature=player_embedded 한국 남사당패의
봄싹 봄싹 스터디 추석 맞이 개편 http://springsprout.org/ 추석 맞이 봄싹 사이트를 배포했습니다. 그동안 자잘한 버그 수정이나 기능 추가로 작업했던 것들을 모두 적용했습니다. 다음 배포는 크리스마스 직전이 될 듯 합니다. 그때는 메인 화면을 조금 더 개선하고 스터디에 게시판 기능을 추가하고, 봄싹 전용 세미나 기능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이번 배포는 다음
봄싹 봄싹 관련 사이트 정리 봄싹 홈페이지: http://springsprout.org 봄싹 그룹스: http://groups.google.co.kr/group/springsprout?hl=ko 봄싹 이슈트래커: http://jira.springsprout.org/browse/SSD 봄싹 위키: http://wiki.springsprout.org 봄싹 코드: http://code.springsprout.org/browse/SpringSprout 이밖에도 몇개 더 있지만… 점점
봄싹 봄싹은 마치 경차같은... http://flvs.daum.net/flvPlayer.swf?vid=VVCSLgWZc0k$ 커뮤니티의 규모가 작다고해서 그 구성원들의 실력이나 커뮤니티의 내실이 허술한 건 아니죠. 흠.. 그래도 이러한 사회적 착각이 팽배한 사회라면… 어차피 유지비도 그게 그거라던데 대형차로 갈아타는 것도 편할 것 같습니다. 걍 그렇다구요.ㅋㅋ
2010 매쉬업 2010 대한민국 매쉬업 참가했습니다. “개발 용어 한글화 프로젝트 DevTerms”로 참가했습니다. 이 녀석을 어제 배포하고 밤새 나머지 주요 기능 중 하나였던 ‘관심 용어’까지 구현한 뒤 배포하고 참가 신청까지 완료했습니다. 2010 매쉬업 참가 목록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위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작년 11월부터 이미 DevTerms를
DevTerms 개발 용어 한글화 프로젝트 "DevTerms" 봄싹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저번 주부터 이녀석 개발하느라 번역도 안하고 회사일도 미루고 잠도 줄이면서 올인했습니다. 아직도 좀 더 만들어야 하는데 일단 사용할 수 있을 정도가 됐다는 판단하에 배포했습니다. (그런데 오판이었어요. 고치고 만들께 아직도 많네요. @_@)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동 역자들의 용어
봄싹 봄싹 Career Path 저는 봄싹 대표가 아니라 운영진 중 한명으로써 봄싹 스터디를 어떻게 키워나갈지 항상 고민하고 있습니다. 사실 대표가 왜 필요한지도 잘 모르겠어요. 규모가 작아서 그런가.. 아무튼 성윤군과 정우형 등 팀원들이 잘 도와주고 있어서 별다른 어려움은 못 느끼고 있습니다. 어쨋거나, 그건 그렇고 봄싹 커리어 패스를 생각해봤습니다. 현재
메인 페이지 [봄싹] 점진적인 개발 봄싹에서 Agile 방법론을 공부한 적은 없지만, 자연스럽게 그와 비슷한 형태의 개발이 진행되는걸 보는 재미가 쏠쏠 합니다. 그 중 하나로 점진적인 개발을 들 수 있습니다. 다들 바쁜 생업을 하는 중에 짬을 내서 개발을 하는 중인데다가, 배포 주기를 될 수 있으면 짧게 가져가고 있기 때문에 ‘
1.0 M1 봄싹 사이트 1.0 M1 오픈 임박!! 현재 봄싹 사이트(0.9)에서 보다 더 스터디 관리 기능을 보강했으며, 위키 디자인을 개선하여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트위터와 이메링을 비롯한 다양한 알림 서비스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구글 토크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스터디나 모임이 있을 때 메시지를 받을 실 수 있는것은 기본이고, 채팅창에서 study? meeting?
봄싹 봄싹을 알리러 갑니다.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event/seminar/dwlive_1205/index.html http://www-903.ibm.com/kr/event/seminar/seminar.jsp?seminar_id=440 오늘 저녁에는 KSUG 모임에 가서 봄싹 사이트 개발과 관련된 내용을 요약해서 발표합니다. 다음주 토요일에는 한국 IBM “웹 개발 다반사&
다음 DebDay 09 [봄싹 축하] 제 9회 다음 DevDay 대상! (다음 에디터 플러긴 WordAssist) 다음 에디터 plugin 계발 계획? 생각? 삽질? 다음 에디터 PulgIn !! wordAssist 봄싹에서 같이 스터디 중인 분들 중에 총 세 분이 출전해서, 그 중 두 분이 한 팀으로 만든 다음 에디터 플러그인이 대상을 탔습니다. 상품으로 닌텐도 Wii를 받아왔고, 그것을 현금화 한 금액 중에서 참가 경비를
봄싹 [봄싹] 커뮤니티 지원 요청 실패 D모 업체에 오픈 소스 커뮤니티 호스팅을 지원해주는 서비스가 있길래, 봄싹 커뮤니티를 지원해 주십사 요청을 했었지만, 실패했다. 제한된 리소스로 말미암아 좀 더 대중적으로 영향력 있고 관심가질 만한 커뮤니티를 지원해줘야하는데, 봄싹은 현재 부적절하다고 판단한 듯 하다. 그렇긴 하다. 현재 봄싹 스터디는 이제 막 1년을 넘긴 새싹과도
봄싹 개발 관련 Q&A 사이트 StackOverFlow!! http://stackoverflow.com/ 사이트 이름부터가 굉장하지 않은가요. 일반적인 포럼 보다는 훨씬 재미있게 만든 사이트로 위키처럼 질문과 답변을 누구나 수정할 수 있고 밷지과 포임트로 보상을 해줍니다. ㅋㅋㅋ밷지 모으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채택과 추천/비추 등의 기능도 해당 질문에 대해 가장 적절한 답변을 바로
봄싹 [봄싹] XP 적용 시나리오 3. 개발하기 본격적으로 개발을 해야하는데, 봄싹에서는 오프라인에서 페어로 작업을 해보기도 했지만, 그렇게 자주 충분히 페어 프로그래밍을 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앞으로도 좀 더 꾸준히 시도를 해봐야 그 효용이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뭔가 대화를 나누면서 코딩할 상대가 있어서 안심이 되긴 합니다. DB update
배포 계획 [봄싹] XP 적용 시나리오 2. 배포 계획하기 봄싹이 언제 배포됐었더라… 기억이 가물가물 합니다. 8월 30일이었나. 이제 두 달을 향해가고 있군요. 다음 배포 일정은 임의로 11월 30일로 잡아두었습니다. 세 달은 지나치게 긴 것 같습니다. 이미 봄싹 개발자들끼리는 새로운 UI를 만끽하고 있는데 봄싹 회원들에게 멋진 UI를 빨리 보여드리지 못하는게 아쉽습니다. 배포 일정과
봄싹 [봄싹] 모임 추가 시나리오 - web flow (구현) <?xml version=”1.0″ encoding=”UTF-8″?> <flow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webflow”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봄싹 [봄싹] 모임 추가 시나리오 - web flow 모임을 추가할 때, 해당 모임에 있을 발표에 관한 정보도 추가하도록 웹 플로우를 구상했습니다. 단순 폼 처리보다 훨씬 복잡해질 수 있어서, 스프링 웹 플로우를 도입하기로 했죠. 그런데 막상 기본적인 사용법을 보고나니, 시나리오가 정해지지 않으면 개발을 진행하지 못하겠더군요. 그래서 구상에 들어갔습니다. 모임을 추가하고나서, 발표를 추가해야지.. 발표가
봄싹 [봄싹 버그]] JSON 뷰와 하이버가 가져온 Proxy 객체 JSON뷰랑 하이버 Proxy 객체가 만나면 JSON 뷰를 만들다 에러가 납니다. 하이버 객체가 Lazy 로딩을 할 수 없는 지점에서 Proxy 객체를 통해 collection에 접근해서 JSON 뷰로 만들 수 없는 데이터에 접근하여 발생하는 에러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에러가 좀 깔끔하게 떨어지면 해결책이나 원인을 찾기도 쉬울텐데.. 이건 뭐.
봄싹 [제이쿼리] 마우스 오버/아웃 이벤트 사용하기 출석체크를 할 때, 체크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결석이 되고.. 결석 버튼을 누르면 출석이 되는 형태의… 비 직관적인 뷰를 만들었었습니다. 버튼을 두 개 만들기 귀찮아서 버튼 하나를 두고 On/Off 버튼 식으로 만들었는데, 현재 상태를 체크 모양 자체가 현재 상태를 나타내고, 그것을 한 번
봄싹 [봄싹] 새 기능 소개 1. 트위터 서비스! http://twitter.com/springsprout 봄싹 트위터를 통해서 스터디와 모임 개설/변경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해드립니다. 트위터 RSS를 구족하시면 RSS 리더기를 통해서도 스터디와 모임 정보를 쉽게 받아 보실 수 있겠죠. 2. 구글 토크 알리미! s2cmailer@gmail.com 이 주소를 구글토크에 친구로 추가해두고, 구글
봄싹 [봄싹] 매주 토요일 이러고 지낸답니다. 스터디도 하고 개발도 하다보면 주말이 정말 금방 끝나버립니다. 주 6일 근무 하는 것과 비슷한 기분이지요. 그래도 즐겁답니다. 매번 새로 오시는 분들과 매주 조금씩 발전하는 봄싹 사이트를 보면 정말 뿌듯합니다. 매주 스터디에 나가도 불평 한마디 없이 오히려 배려해주고 신경써주는 와이프와 봄싹에 참여하여 자신의
번역 [봄싹] 스프링 레퍼런스 3.0 번역 시작 http://springsprout.org/wiki/464.do 3.0 레퍼런스 번역을 꾸준히 하겠습니다. 그동안 블로그에 조금씩 번역해서 올려두기도 했었는데 아무래도 레퍼런스 글은 블로그에서 찾아보는게 불편해서 봄싹 위키에 정리하기로 했습니다. 일단은 저 혼자 시작합니다. 하지만 봄싹 회원이라면 누구나 위키 페이지를 추가/수정/이동 시킬 수 있기
봄싹 [봄싹] 간단하지 않은 회원 관리 봄싹 시즌 2 개발 중에 자연스래 담당하는 모듈이 나뉘어져서 요즘은 주로 회원 관리 모듈만 개발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뭐 간단하겠지.. 별거 있나.. CRUD만 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니더군요. 일단 회원 관리와 더불어 인증/권한까지 같이 담당하게 되었는데, 사용자가 회원 가입과 로그인을 하고 그 사용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