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 [Spring Data JPA] 1.0.0.RC1 Chapter 2 2장. JPA 리파지토리 이 챕터에서는 JPA 리파지토리 구현체를 자세히 설명한다. 2.1. 쿼리 메서드 2.1.1. 쿼리 룩업 전략 JPA 모듈은 쿼리를 직접 정의하는 방법과 메서드 이름으로 정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선언된 쿼리 메서드 이름을 사용해서 쿼리를 만들수도 있지만 사용하고 싶은 키워드를 지원하지 않는다거나,
JPA [Spring Data JPA] 1.0.0.RC1 Chapter 1 1장. 리파지토리 1.1 소개 데이터 접근 계층 구현이 너무 뻔하고 지겨운 코드 작성이 많다. 그리고 도메인 클래스는 빈약하고 전혀 객체 지향적이거나 도메인 주고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스프링 데이터에서는 데이터 접근 계층 구현 개발 비용을 줄여주고자 한다. 1.2 핵심 개념 Spring Data
하이버네이트 [하이버네이트 VS JPA] 객체 다루기 JPA를 언젠간 써야 할텐데 아직도 하이버네이트가 그냥 편해서… @_@;; 암튼 이 둘은 객체를 다루는 API가조금 다른데 그걸 정리해둡니다. 하이버네이트(Session) JPA(EntityManager) 설명 save() persist() 저장(정확하게는 Pesistent 상태로 변경) get() find() DB에서 가져오기 load()
@Configurable @Configurable + 톰캣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class MemberTe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Member member = new Member(); if(member.
@Configurable @Configurable + @Entity 참조 : Spring: Component Scan + Load Time Weaver (LTW) 아침에 올라온 댓글을 보고 확인해봤습니다. 질문은 @Configurable과 JPA 그리고 Jetty를 사용했을 때, @Configurable이 동작하지 않아서 도메인 객체가 가지고 있는 레퍼런스 타입의 객체들이 세팅되지 않고 null 인 상태라는 제보였습니다. 예상으로는 웹 서버를 동작 시키실 때, -javaagent 옵션을
JPA JPA @Transient @Entity 애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의 모든 속성들은 기본으로 모두 테이블의 필드로 생성하게 됩니다. 만약 어떤 속성을 테이블의 필드로 만들고 싶지 않다면, @Transient 애노테이션을 해당 속성 또는 해당 속성의 getter위에 붙여주면 됩니다. @Entity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memberId; private String password;
@JoinColumn JPA @JoinColumn 참조 :http://www.oracle.com/technology/products/ias/toplink/jpa/resources/toplink-jpa-annotations.html#JoinColumn링크에 내용이 상당히 많아서 정리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이름이 암시 하듯이 Join 컬럼 설정을 할 때 사용합니다. 위의 관계에서 Post에 Catergory 의 주키를 외례키로 가짐으로써 Join을 하고 있으니… Post
@ManyToOne JPA @ManyToOne 참조 : http://www.oracle.com/technology/products/ias/toplink/jpa/resources/toplink-jpa-annotations.html#ManyToOne자 이번에는 Post쪽에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하나의 Post는 하나의 Category와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그럼 1:1 인가요? ㅋㅋ 아니죠. “또 다른 하나의 Post가 위의 Post가 연관을 맺고 있는
@OneToMany JPA @OneToMany 참조 : http://www.oracle.com/technology/products/ias/toplink/jpa/resources/toplink-jpa-annotations.html#OneToMany위와 같은 관계에 있을 때 Category도 자신에 속해있는 Post를 참조할 수 있고 Post도 자신이 속한 Category를 참조할 수 있다면 Java 코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ategory {
JPA JPA(Java Persistent API)가 뭐지.. 지난 스터디 때 처음 들어본 단어 JPA[footnote]물론 처음 들어본 단어는 이 밖에도 많았지요.[/footnote]를 공부해야 한다는 말씀을 듣었습니다. 설명도 살짝 들었습니다. EJB와 관련지어 설명해 주셨는데 EJB를 공부해본 적도 없고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해하지 못하고 외울 수 밖에 없었습니다. EJB의 Entity bean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