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ck [Mockito] mock 객체 쉽게 만들기 이지목(easymock)을 사용할 때는 인터페이스의 목만 만들 수 있어서 불편했습니다. 물론, 이지목 확장팩(?)을 이용하면 클래스의 목객체도 만들 수 있었는데, 별도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 하는것이.. 좀 귀찮았죠. 요즘은 어떤지 몰겠습니다. 라이브러리 버전 올리면서 통합 할 법도 한데 말이죠. 암튼.. 저는 이지목보다 조금 더 간편하고 직관적인 라이브러리인 목킷투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예전에
Mockito [Mockito] void 메서드 stubbing 새로운 방법 참조: http://mockito.googlecode.com/svn/branches/1.4/javadoc/org/mockito/Mockito.html 링크에 있는 글대로 작성 해 보면 stubVoid(mockWarManager).toThrow(new WarPackgingException()).on().packaging(); 이렇게 됩니다. “누가 뭘 던 진다 뭐 할 때.” 새로운 형태로 작서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DbUnit Why OSAF 1. 테스트 코드를 익힐 수 있습니다. OSAF를 공개한지 한 달이 아직 안 됐습니다. 10월 23일에 공개했었죠. 지금까지 약 200에 가까운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지만, 전혀… 아무런… 반응이 없다는 것에는 가히 놀라울 뿐입니다. 그냥 제가 쓴 글의 댓글 몇 개 정도 뿐의 관심이 저에게 한 편으로는 아쉬움으로 또 다른 한 편으로는 오기로 다가옵니다. 완전 최첨단 프레임워크인
Argument Matcher Mockito - 아규먼트 Matcher 참조 : http://mockito.googlecode.com/svn/branches/1.4/javadoc/org/mockito/Mockito.html // 내장된 anyint() 아규먼트 매처를 사용해서 스텁 만들기. stub(mockedList.get(anyInt())).toReturn(“element”); // hamcrest가 제공하는 매처를 사용해서 스텁 만들기. stub(mockedList.contains(argThat(isValid()))).toReturn(“element”);
Mockito Mockito - Verifying exact number of invocations / at least once / never Mockito 사용해서 정확한 메소드 호출 횟 수 / 최소한 한 번 / 전혀~ 한 번도 호출 안했는지 검증하기 //mock 사용하기 mockedList.add(“once”); mockedList.add(“twice”); mockedList.add(“twice”); mockedList.add(“three times”); mockedList.add(“
Mockito Mockito - How about some stubbing? 참조 : http://mockito.googlecode.com/svn/branches/1.4/javadoc/org/mockito/Mockito.html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클래스의 mock 객체도 생성할 수 있다.//easymock 보다 편하군요. easymcok은 extention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죠. LinkedList mockedList = mock(LinkedList.class); //Stubbing stub(mockedList.get(0)).toReturn(“first&
EasyMock expect -> run -> verify 스타일(ex. Easymock) 바이바이 참조 : http://monkeyisland.pl/2008/02/01/deathwish/ 이지목 스타일은 녹화 -> 플레이 -> 확인(expect -> run -> verify) 순으로 mocking 또는 stubbing 하는 거였습니다. 그러나 이 스타일은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있습니다. 1. 테스트 메소드가 지져분해짐. – 이것 저것 예측/녹화를 해줘야 하는데 그게 테스트를